질문게시판 > 공통음극형 FND를 9V로 동작하게 하고 싶어요.

TODAY4,778 TOTAL7,751,104
사이트 이용안내
Login▼/회원가입
최신글보기 질문게시판 기술자료 동영상강좌

아두이노 센서 ATMEGA128 PWM LED 초음파 AVR 블루투스 LCD UART 모터 적외선


BASIC4MCU | 질문게시판 | 공통음극형 FND를 9V로 동작하게 하고 싶어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멘토 작성일2025-01-21 14:08 조회1,600회 댓글7건

본문

	

안녕하세요?

공통양극형 FND는 9V 전원을 TR로 제어해서 전원만 온 오프할 수 있는데

공통음극형은 각 핀의 출력이 5V라서 각 핀 마다 TR로 제어해서 9V 전원을

제어할 수 밖에 없나요?

 

ㅠㅠ

아두이노 각 핀의 출력을 5V로 내보내서 5V 작은 FND는 켤 수 있는데

사이즈가 큰 FND의 구동 전압이 높아서 아두이노 출력으로는 너무 어두워서요.

공통양극형이면 아무 문제 없는데 공통음극형이라 문제네요.

아두이노와 FND 각 핀마다 TR를 사용하지 않고 9V 전원으로 

FND를 사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BASIC4MCU 작성글 SNS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 7

조회수 1,600

master님의 댓글

master 작성일

회로도를 첨부하셔야지 구체적인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우선 정상적인 구동을 고민하기 전에 회로가 고장날 수 있음을 아셔야 합니다.
//
 https://cafe.naver.com/circuitsmanual/110013
이 글의 부품 링크를 참고하시고, 오래전에 작성한 글이므로 재고와 가격이 더 유리한 곳은 직접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캐소드 FND 구동>
AVR--->TD62783A--->저항--->FND 세그먼트
AVR--->ULN2003A--->FND 콤몬

회로 구성은 링크에서 추천하는 방식으로 만드시면 됩니다.

master님의 댓글

master 작성일

https://cafe.naver.com/circuitsmanual/191762
구체적인 회로구동 예는 이 글을 참고하시면 되지만
9V를 사용한다는 것은 알려주셨지만 세그먼트 규격이 없으므로 LED가 직렬로 몇개인지, LED Vf가 얼마인지 알지 못하므로 저항값 계산을 하지 못합니다.

master님의 댓글

master 작성일

9V 전원장치는 전류가 크지 않아서 보통 12V로 많이 구동하기도 합니다.
또,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어느정도는 되어야지 전압변동에 따른 전류변동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전압이 높고 전류가 큰 세그먼트를 구동하다보면 고스트(옆자리 숫자가 표시되는)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OFF 딜레이를 줘서 제거하면 됩니다.
문제가 될 때, 소스코드를 추가해서 질문하면 도와드리죠

멘토님의 댓글

멘토 작성일

답변 감사합니다.
해당 7세그먼트는
https://parts-parts.co.kr/front/php/product.php?product_no=3067&NaPm=ct%3Dm6772pjh%7Cci%3Dcheckout%7Ctr%3Dppc%7Ctrx%3Dnull%7Chk%3D8285edf33a9cc4a7cf733ae751981eae51389704
이 제품입니다.
이것을 4개로 00-99 / 00-99 -- 99로 두자리씩 스위치를 이용해서 각각 2개씩 업 또는 다운
하는 기능을 이용할려고 합니다.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공통양극형은 할 수 있겠는데 공통음극형은 12V나 9V 전원을
이용하는게 조금 어렵습니다.
ULN2003A 를 이용하면 가능할 걸로 예상됩니다.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aster님의 댓글

master 댓글의 댓글 작성일

ULN2003A 하나만 사용하면 고장납니다.
TD62783A도 사용하세요
저항값은
1.8V*3=5.4V
10mA를 흘려준다고 하면
(9V-5.4V)/10mA=360옴

멘토님의 댓글

멘토 작성일

답변 감사드립니다.
공통양극형이면 쉽게 해결될텐데....

master님의 댓글

master 댓글의 댓글 작성일

공통양극형도 12V로 구동한다면 고장납니다.
ULN2003A TD62783A 둘 다 사용해야지 9V든 12V든 고장나지 않습니다.
물론 12V는 전압이 올라가면 저항 과전류 위험이 없는지 체크해야 합니다.

질문게시판HOME > 질문게시판 목록

MCU, AVR, 아두이노 등 전자공학에 관련된 질문을 무료회원가입 후 작성해주시면 전문가가 답변해드립니다.
ATMEGA128PWMLED초음파
아두이노AVR블루투스LCD
UART모터적외선ATMEGA
전체 스위치 센서
질문게시판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MCU, AVR, 아두이노 등 전자공학에 관련된 질문은 질문게시판에서만 작성 가능합니다. 스태프 19-01-15 24377
공지 사이트 이용 안내댓글[31] master 17-10-29 39061
질문 DLM-64DCAA 고장나서 수리하고 싶습니다댓글[2] 이미지첨부파일 공부하고싶은콩 25-03-11 51
질문 로봇 얼굴 제작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댓글[4] 카모킹스 25-03-03 290
질문 모터와 모터드라이브 질문있습니다댓글[1] ponyo 25-02-19 143
현재글 공통음극형 FND를 9V로 동작하게 하고 싶어요.댓글[7] 멘토 25-01-21 1601
질문 oled 모듈 연결 질문입니다!댓글[1] 펌린이 24-12-17 300
질문 Atmega 128 타이머 질문있습니다댓글[1] ednda 24-12-11 323
답변 답변글 답변 : Atmega 128 타이머 질문있습니다 master 24-12-11 235
질문 ATmega128 2개로 hc-05,hc-06블루트수 통신 동콩이 24-12-04 295
답변 답변글 답변 : ATmega128 2개로 hc-05,hc-06블루트수 통신댓글[4] master 24-12-04 2277
질문 lm75a 온도센서 관련 질문입니다.댓글[6] 이미지첨부파일 hanmw0707 24-12-01 5211
질문 리얼타임클락 질문이요 ㅠㅠ댓글[1] 이미지 팬케이크 24-11-22 394
질문 가속도센서 2개를 강아지 2마리에 각각 달아서 스마트폰으로 움직임을 보고 싶은데요댓글[1] gainomax 24-11-21 566
질문 라즈베리파이 4B 사용 중 막히는 부분 질문합니다댓글[1] 한마바키 24-11-12 6687
질문 스위치로 PI 모터 제어 바밤 24-11-11 288
답변 답변글 답변 : 스위치로 PI 모터 제어 master 24-11-12 285
질문 아트메가128 마이크로프로세서댓글[3] 옹심이 24-11-05 1107
질문 초음파 센서로 장애물 인식댓글[1] 나난ㄴ 24-10-31 450
질문 이런 투명 LCD는 뭐라고 부르나요?댓글[2] 이미지 펌린이 24-10-29 657
질문 모터제어 중 RPM 계산 질문입니다.댓글[3] suuuuuuuh 24-10-24 961
질문 아트메가 128과 블루투스 모듈(HC-06) 연결 질문댓글[1] 메가아트 24-10-24 451
질문 ATmega128 질문 DFplayer mini댓글[1] Miin 24-10-18 7039
질문 스탭모터 3개 회로도 질문.. 삉삉이 24-10-11 429
답변 답변글 답변 : 스탭모터 3개 회로도 질문.. 이미지 master 24-10-12 443
질문 수분수위센서와 멀티플렉서댓글[3] 김고래쓰 24-10-10 1204
질문 ATmegq128 PI 제어기 추가댓글[1] 바밤 24-10-08 459
답변 답변글 답변 : ATmegq128 PI 제어기 추가댓글[1] master 24-10-08 618
질문 아두이노 ide 네오픽셀 각 셀 각자 코드 현수 24-09-29 299
질문 아두이노 IDE 프로마이크로 네오픽셀 현수 24-09-29 340
게시물 검색

2022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1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0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9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8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Privacy Policy
MCU BASIC ⓒ 2020
모바일버전으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