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4MCU | 질문게시판 | 답변 : 아두이노 FET 솔레노이드 구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ster 작성일2018-09-09 10:38 조회12,443회 댓글2건본문
질문 그림은 FET가 직렬로 연결 되어 있는데 이 그림처럼 1단만 사용하는 것이겠죠?
//
솔레노이드에 저항을 직렬로 연결해서 솔레노이드 전력을 1/4로 줄여도 동작에 지장없다면
솔레노이드 전원을 25V 대신 12V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
솔레노이드를 묶어서 구동해도 된다면 솔레노이드를 직렬로 구성하면소모전류가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커패시터 용량은 솔레노이드의 역기전력을 충분히 흡수 해줄 만큼만 있으면 됩니다.
//
https://www.vishay.com/docs/93492/vs-1n1183series.pdf
1N1183A 다이오드가 용도에 맞을까요?
https://www.infineon.com/dgdl/irf1405pbf.pdf?fileId=5546d462533600a4015355db084a18bb
역기전력이 IRF1405의 내전압인 55V를 넘게되면 IRF 바로 고장납니다.
다이오드는 전압이나 전류만 보면 안되고 속도가 아주 중요합니다.
역기전력은 임펄스 식으로 짧은 순간 높은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댓글 2
조회수 12,443동지님의 댓글
동지 작성일
전해 콘덴서로 해도 괞찮나요?
그래고, 2개씩 묵어서 한다면, 두 솔레노이드 사이에 mosfet 트렌지스터를 넣어야 되는데,
그렇게 된다면면,
R3 과 접지가 연결된 선을, 두번째 솔레노이드로 가는 선으로 연결안하고, 접지로 연결한 다음,
솔레노이드 2개 각각에 다이오드를 넣고 나서,
콘덴서는 아래 그림처럼 하나만 넣어야되나요
다이오드 각각에 넣어야 하나요?
master님의 댓글
master
글을 읽는 사람이 이해 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작성하셔야합니다.
아두이노 출력부터 상세한 회로도를 첨부하고
어떻게 사용하려는지 적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