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4MCU | 질문게시판 | 릴레이 규격 UL-2A 30VDC, 1A 125VAC 전류 질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ster 작성일2018-09-16 09:37 조회8,847회 댓글0건
https://www.basic4mcu.com/bbs/board.php?bo_table=gac&wr_id=3099
본문
UL-2A 30VDC, 1A 125VAC
UL : UL인증2A 30VDC : DC전압은 30V까지, 2A전류1A 125VAC : AC전압은 125V까지, 1A전류맞는지요?AC전압은 RMS전압인가요?예) Vpp=125*1.4=175V정도DC전류와 AC전류가 차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계산방법은?)//AC전압은 RMS입니다.DC 전압은 항상 높은 전압이라서 전류가 적은 것이고요AC 전압은 사인파라서 전류가 더 큽니다.DC30V 2A라면 DC15V에서는 4A, DC60V 1A가 되는겁니다.AC125V에서 1A면 AC250V에서는 0.5A가 됩니다.접점의 사용 가능한 최대 전압은 절연파괴와 관련 있습니다.보통은 AC250V 와 DC30V의 전류값이 같습니다.따라서DC30V 2A / AC125V 1A 가 아니고DC30V 1A / AC125V 2A 또는 DC30V 1A / AC250V 1A 스펙일겁니다.다시 확인해보세요스펙은 저항성 부하에 대한 전류이므로용량성이나 유도성 부하에 대해서는 허용 전류가 줄어듭니다.//3. 직류 부하
1) 유도 소부하(회로)를 높은 전압에서 개방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접점간에 높은 전압이 발생하여 아크 방전이나 불꽃 방전을 일으킵니다. 이 방전 에너지가 크면 접점금속의 이전(移轉) 마모현상을 초래하므로 접점기능의 불량원인이 되는 일이 있습니다.
2) 접점의 전이현상 이란 한쪽의 접점이 용착 또는 증발하여 다른 편의 접점에 이전하는 것이며, 개폐회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그림과 같이 요철 현상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요철이 폐쇄된 것 같은 현상이 되어 개폐불능이 됩니다. 이 대책으로는 불꽃소거 회로 외에 접점에 걸리는 전압을(+, -) 반대로 하는 것이 유효합니다.
3) 용량성 부하(회로)나 긴 케이블을 통하여 부하에 통전하는 회로를 닫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접점에 방전전류가 흐르고 아크방전을 일으킵니다. 이 방전 에너지는 접점소모나 용착의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방전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의 개로시에 대해서는 CR형이나 다이오드, 바리스터를 이용한 불꽃소거회로가 사용되고, 폐로시에는 파동제어기(Surge suppressor)가 사용됩니다.접점에 있어서 DC 전류를 개폐한 경우
1) AC 개폐용량에 비하여 DC 개폐용량은 적어집니다
2) 전이 현상이 생기고 수명이 짧아집니다
3) 이상(異狀) 부식현상에 의해서 금속부분이 부식되고 수명이 짧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사이트 자료를 더 읽어보세요
댓글 0
조회수 8,847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