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4MCU | 통신 | 485통신 | 2. 초기 핀 상태 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키트 작성일2017-08-31 17:48 조회2,815회 댓글0건본문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전원만 연결한 상태에서 각 핀의 전압을 측정 한 것입니다.
2,3,4번 입력핀은 모두 같은 전압인 1.56V를 보이고 있습니다.
입력에 아무 것도 연결 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이 나오고 있으므로
내부적으로는 위 그림처럼 송신이네이블 및 송신단자가 high로 작용 하고 있습니다.
//---
1번 출력은 0V로 보이지만 하이 임피던스 상태입니다.
오실로스코프로 파형을 측정하는 상태에서 손을 대면 인체에 유기된 60Hz 전원 노이즈가 보이게 됩니다.
정상적으로 출력이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는 손을 댄다고 해서 전압이 이렇게 많이 흔들릴 수 없습니다.
2,3,4번 입력 단자도 손을 대면 위 사진처럼 하이 임피던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에 말한 것처럼 4번핀(TX)에 손을 대고
6번핀(485 bus-high 출력)을 측정한 것입니다.
입력핀에 유입된 노이즈가 60Hz(16.667ms) 주기로 출력에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3번핀(TX ENABLE)만 손을 대고
6번핀(485 bus-high 출력)을 측정한 것입니다.
입력핀에 유입된 노이즈가 60Hz(16.667ms) 주기로 출력에 나오고 있습니다.
4번에 손을 댓을 때는 노이즈가 계속 보였지만 3번핀에 손을 댔을 때는 아주 가끔만 약하게 보입니다.
RX ENABLE 단자도 실험 해야겠죠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2번핀(RX ENABLE)만 손을 대고 1번핀(RX 출력)을 측정한 것입니다.
입력핀에 유입된 노이즈가 60Hz(16.667ms) 주기로 출력에 나오고 있습니다.
1번(RX 출력)핀에 100K 풀업저항을 걸고서 측정하면
2번핀(RX ENABLE)에 노이즈를 넣든 안 넣든 출력은 변화가 없습니다.
위 두개의 사진은 100K 풀업저항이 걸린상태에서 1번핀에 손을 대고 측정한 사진입니다.
100K옴이라서 노이즈의 영향을 더 받습니다.
10K옴이라면 리플이 훨씬 적게 보입니다.
위 사진은 2번핀에 손을 대지 않고 찍은 사진이고, 아래 사진은 2번핀에 손을 대고 찍은 사진입니다.
다시 위의 사진을 가져오겠습니다.
단자에 손을 대도 1.56V 아랫쪽으로는 노이즈 파형이 내려가지 않습니다.
low 레벨이 되어야지 RX 게이트가 활성화 될텐데 말이죠..
2번핀은 손을 대도 RX ENABLE을 변화 시키기 어렵습니다.
위 실험은 TI사 SN75176을 실험 한 것이고
제조사에 따라서 특성이 다르게 나올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같은 제조사라고 해도, 어느지역에서 언제 생산 했느냐에 따라서 다른 특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
지금까지는 아무것도 연결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신호를 측정 해봤습니다.
MCU로 제어 한다고 할 때에
리셋 기간동안에는 GPIO가 하이 임피던스 상태이고
리셋이 끝나더라도 초기화 값이 입력포트이므로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이어집니다.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출력을 지정 하기 전까지)
이 시간이 상당히 길어서 고장이나 오동작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니 유념 해야 합니다.
댓글 0
조회수 2,815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