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4MCU | 통신 | 485통신 | 4. (485 버스의) 풀업 풀다운 저항 및 종단 저항
페이지 정보
작성자 키트 작성일2017-08-31 17:49 조회4,789회 댓글0건본문
앞장에서 이네이블 단자에 3.3K 풀업 저항을 사용했습니다.
이 상태로 끝일까요?
6번이나 7번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이고
케이블을 연결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을 가까이 가기만 해도 노이즈가 1번(RX)핀으로 출력 됩니다.
6번이 485 버스 +출력(입력)이고
7번이 485 버스 -출력(입력)입니다.
UART의 TX나 RX는 보통 때 high로 있다가 스타트 신호가 low로 떨어지면서 데이터가 시작 됩니다.
485 케이블을 연결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6번이 high, 7번이 low로 있어야지 1번(RX)핀 출력이 high로 나오게 됩니다.
//
마스터, 슬레이브를 막론하고 여러개가 연결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통신을 하지 않는 시점에서는 모두 수신 상태이고
485버스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케이블이 안테나 역활을 해서 많은 노이즈가 유입됩니다.
485 버스의 A,B 두 신호선의 전압이 노이즈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도록 유지 하려는 목적으로 종단 저항을 사용 합니다.
위쪽은 75176B, 아래는 MAX485 데이터시트 내의 그림입니다.
종단저항은 가장 멀리 떨어져있는 케이블 양쪽 두군데에 연결 합니다.
풀업, 풀다운 저항의 크기와 종단 저항의 크기는 얼마로 해야지 적당할까요? 라는 질문이 나올 차례입니다.
실험으로 찾는 방법은 최상~최악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지 실험을 해서 찾는 방법이 가장 좋으나
조건을 만들기 어려우면 실험을 할 수가 없으므로
남들이 사용하는 회로를 참고하거나 데이터시트의 레퍼런스를 참고하게 되겠죠
풀업 풀다운 저항은 10K를 사용하고 종단저항은 MAX485의 데이터시트대로 120옴이나 150옴을 많이 사용합니다.
//
현장 상황에 따라서 에러가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 실험 외에도 추가로 더 실험을 해서 이해를 많이 해둬야지 애를 덜 먹고 에러를 처리 할 수 있습니다.
추가 실험은 각자 숙제로...^^
댓글 0
조회수 4,789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