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센서 | 변류기( CT )
페이지 정보
작성자 키트 작성일17-09-04 15:05 조회3,950회 댓글2건본문
변류기를 사용 하면 전류를 측정 할 수 있습니다.
![]() | |||||||||||||||||||||||||||||||||||||||||||||||||||||||||||||||||||||||||||||||||||||||||||||||||||||||||||||||||||||||||||||||||||||||||
CT는 비오차(직진성) 및 위상각의 변화율에 의해 0.1급, 0.2급(표준용 변류기)과 0.5급, 1.0급, 3.0급(일반용 변류기)으로 구분하며, 정밀도에 따라 전자식 적산전력계(0.2급~1.0급), 전자식 모터보호 계전기 (EOCR, EMPR) 및 기타 전류 센서(1.0급~3.0급)에 사용됨 | |||||||||||||||||||||||||||||||||||||||||||||||||||||||||||||||||||||||||||||||||||||||||||||||||||||||||||||||||||||||||||||||||||||||||
표준용 변류기의 비오차 및 위상각의 한도 | |||||||||||||||||||||||||||||||||||||||||||||||||||||||||||||||||||||||||||||||||||||||||||||||||||||||||||||||||||||||||||||||||||||||||
| |||||||||||||||||||||||||||||||||||||||||||||||||||||||||||||||||||||||||||||||||||||||||||||||||||||||||||||||||||||||||||||||||||||||||
비고 In은 정격주파수 정격 1차 전류를 나타낸다 | |||||||||||||||||||||||||||||||||||||||||||||||||||||||||||||||||||||||||||||||||||||||||||||||||||||||||||||||||||||||||||||||||||||||||
일반계기용 변류기의 비오차 및 위상각의 한도 | |||||||||||||||||||||||||||||||||||||||||||||||||||||||||||||||||||||||||||||||||||||||||||||||||||||||||||||||||||||||||||||||||||||||||
| |||||||||||||||||||||||||||||||||||||||||||||||||||||||||||||||||||||||||||||||||||||||||||||||||||||||||||||||||||||||||||||||||||||||||
비고 In은 정격주파수의 정격 1차 전류를 표시한다.
|
SCT-1 | 30A/15mA |
이 센서를 사용 한다고 하면 부하가 30A 일 때에 15mA가 CT로 흐릅니다.
가정집은 부하가 적으므로 적은 전류 용량의 CT를 사용 해야 합니다.
CT에 LED를 직접 연결 해도 되지만
아래 그림처럼 DC 전압으로 바꿔서 MCU나 LM3914, 비교기 등을 사용 해서 처리 해도 됩니다.
CT에 흐르는 전류를 저항 걸어줘서 전압으로 바꿉니다.
저항과 병렬로 캐패시터를 연결해서 리플을 없앤 후 ADC 입력을 받으면 됩니다.
출력 전압은 어느 정도는 R값으로 조정 가능하지만
저항이 너무 커지면 자기 포화가 일어나므로
그 때에는 OPAMP로 증폭하면 됩니다.
11. OP 앰프 반전증폭기에 의한 반파정류회로
이 회로의 경우, 언뜻 보면 D2가 없어도 될 것처럼 보이지 만 없으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어째서 이렇게 해야 하는 가에 대해서는 D2의 움직임을 이해하면 자연히 알 수 있다.

그림 11의 회로에서 입력이 마이너스라면 출력은 플러스 로 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또 입력이 플러스인 경우에도 OP 앰프의 출력이 -0.6V로 되어 역시 정상적으로 동작한 다. 입력이 마이너스인 경우는 D2가 없어도 정상적으로 동작 한다. 입력이 플러스인 경우, 입력에 들어온 전류가 갈 곳이 없어져버린다.

최악의 경우에는 그림 12와 같이 입력전압이 그대로 나온다.
12. OP 앰프 반전증폭기에 의한 전파정류회로
이 회로는 전파정류회로로 자주 사용되지만 반파정류회로 가 하나밖에 없다. 이 회로의 포인트는 R4와 R5의 저항값에 있다. 즉, R4에는 입력신호에 의한 본래의 전류가 흐르고 있 지만 그것을 R5에 흐르는 역 극성의 2배 전류에서 출력에 흐 르는 전류의 극성을 강제로 반대로 해버리려는 것이다.
R5의 저항값은 R4의 저항과 동일한 것을 2개 병렬로 하면 2배의 이득을 상당히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
이 회로에서도 R2를 2배로 함으로써 소멸 측의 이득을 만들 수도 있지만 이 경우는 IC1의 출력이 앞서 포화돼버리므로 도중에 출력이 되돌아 와버린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한쪽 극성의 파형만이 반단(半端)정류회로를 통과하기 때문에 높 은 주파수로 되면 출력이 언밸런스로 된다.
13. OP 앰프 차동증폭기에 의한 전파정류회로
그림 14의 회로는 전파정류의 또 하나의 예이다.

그림 13의 회로에 비하면 상하 대칭에서 왠지 모르게 말끔하다.

이 회로에서는 R5, R6의 존재 이유가 포인트이다. 그림 15는 R5, R6가 없을 때의 동작이다.

경로 ②가 동작하는 것은 입력이 마이너스일 때이다. 이 때 출력에서의 피드백 전류가 IC1a 의 입력까지 복귀해버려 입력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되므로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다. 차동증폭에 의한 전파정류회로는 플러스 전압 입력 시와 마이너스 전압 입력 시 동시에 신호가 동일 IC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플러스/마이너스에 의한 주파 수 특성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댓글 : 2
조회수 : 3,950
tonytony님의 댓글
tonytony 작성일
안녕하세요, 설명해주신 내용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다름이 아니오라 이러한 센서를 구매하려면 어디에서 해야할는지 혹시 알고 계실는지요?
그럼 답변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ㅎ
master님의 댓글
master
글 하단에 사이트 링크가 있습니다.
물론 다른 제조사의 제품을 구입하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