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컬 데스크탑 환경에서 꼭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탐색기’와 같은 ‘파일 관리자’가 아닐까 싶습니다. 파일 관리자에서 사진 파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사진 뷰어가 뜨고, 텍스트 파일을 클릭하면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가 뜬다면 매우 편리하니까요.
■ 텍스트 편집기 설치
파일 관리자를 설치하기에 앞서 다음 강을 위해 텍스트 편집기부터 설치합니다.
텍스트 모드에서는 ‘나노’라는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해본 적이 있고 ‘나노에디터’는 ‘vi에디터’에 비하면 다루기 쉬운 편집기이긴 합니다만, 역시 윈도우OS에 익숙한 사용자분들은 그래픽 모드용 편집기를 더 다루기 쉬워 하십니다.
‘gedit’와 ‘gedit-plugins’, ‘gnome-icon-theme-symbolic’ 총 3개의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텍스트 편집기로 gedit는 살짝 동작이 굼뜨기 때문에 딱히 좋아하지는 않는 편인데요, 이 만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텍스트 에디터를 못 찾아서 추천드릴 따름이니 ‘leafpad’나 ‘mousepad’, ‘kwrite’ 등의 다른 텍스트 편집기도 사용해보시고 그 중에서 가장 취향에 맞는 걸 고르시기 바랍니다.
■ 파일관리자 설치
저는 파일관리자로 ‘PCManFM’을 사용합니다.‘pcmanfm’와 ‘gksu’, ‘tangerine-icon-theme’ 총 3개의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설치를 마치면 ‘pcmanfm’이라고 입력해 파일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왼쪽 측면 패널을 폴더식으로 나타나게 하려면 ‘보기’ → ‘Side Panel’ → ‘Directory Tree’로 설정합니다.
‘/etc/apt/’폴더로 이동한 뒤에 ‘sources.list’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gedit’라는 텍스트 편집기로 연결됩니다.
PCManFM은 윈도우 탐색기와 유사한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령, USB메모리를 기기에 꼽으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운트해주어 편리합니다.
주소란에 smb로 시작하는 주소를 넣어주면 윈도우PC와의 내부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 공유를 할 수 있고,
FTP주소를 넣으면 FTP클라이언트로 동작해 외부 네트워크에 있는 FTP서버에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