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4MCU | ◎초보자가이드 | 납땜-공구-부품구입 | 납땜 하는 법 - 4
페이지 정보
작성자 키트 작성일2017-08-29 16:26 조회1,956회 댓글0건본문
납땜이란 두개의 금속을 납(또는 납합금)을 이용해서 붙이는 것을 말합니다.두개의 금속에 납이 잘 붙으려면두개의 금속 모두 납이 녹을 만큼 가열 되어 있어야 합니다.여기서 인두기와 실납 두개중 어느 것을 먼저 대야 하는지또는 동시에 대야 하는지 순서가 궁굼한 분도 계실겁니다.또 두개의 금속이 부피가 다를 때에 어느 것을 먼저 가열 해야 할지도 중요하겠죠SMD는 부품의 리드가 작아서 순식간에 가열되므로 패드가 오히려 늦게 가열 됩니다.패드부터 가열 시키고 리드가 가열되면 이상적이겠죠?보통은 무시하고 납땜해도 됩니다.원론으로 돌아가서 실납부터냐 인두기 부터냐를 논해보죠<실납부터, 인두기를 나중에 대는 방법>두개 금속의 접합부 근처에 납을 대고 인두기를 납에 대서 녹입니다.실납 가운데 포함 되어 있는 플락스가 납을 잘 퍼지게 해서 납땜이 됩니다.납이 녹으면 납을 바로 떼어내고(녹아서 저절로 떼어짐, 납을 밀어서 더 투입하지 않으면 됩니다.)납이 두개 금속에 잘 퍼지면 인두기를 떼어냅니다.금속에 납이 녹아서 퍼지지 않으면 납을 조금 더 투입해서 납속의 플락스를 공급해줍니다.금속에 납이 잘 묻은 후에도 인두기를 오래 대고 있으면 플락스가 다 날아가서 납이 치즈처럼 늘어져서 이쁘지 않게 됩니다.두개 금속에 납이 잘 퍼진 후에는 인두기를 떼어내야 합니다.<인두기부터, 실납을 나중에 대는 방법>인두기를 두개 금속중 부피가 큰 것에 대고 가열 한 후 납에 대서 녹입니다.IC 리드에 인두기를 대서 가열 할 필요는 없겠죠?핀이 굵고 큰 스위치라든가 오래 가열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열좀 받게 한 후에 납을 대는 것이죠처음 인두기를 대기 전에 인두기에 납을 살짝 묻히고서 시작합니다.이런 부품은 많은 납을 필요로 하고 조금 납이 묻었다고 해도 그 양으로는 부족합니다.충분히 가열 된 후에 실납을 밀어넣어서 녹입니다.실납 가운데 포함 되어 있는 플락스가 납을 잘 퍼지게 해서 납땜이 됩니다.납이 녹으면 납을 바로 떼어내고(녹아서 저절로 떼어짐, 납을 밀어서 더 투입하지 않으면 됩니다.)납이 두개 금속에 잘 퍼지면 인두기를 떼어냅니다.금속에 납이 녹아서 퍼지지 않으면 납을 조금 더 투입해서 납속의 플락스를 공급해줍니다.금속에 납이 잘 묻은 후에도 인두기를 오래 대고 있으면 플락스가 다 날아가서 납이 치즈처럼 늘어져서 이쁘지 않게 됩니다.두개 금속에 납이 잘 퍼진 후에는 인두기를 떼어내야 합니다.//색칠한 부분처럼 인두기를 떼는 방법은 동일합니다.일반적인 부품의 가열에서는 금속이 가열되는 시간차이가 거의 없으므로실납부터 인두기부터 순서 따지지말고 그냥합니다.오래 가열하지 않는 것이 중요.//납땜에 있어서 플락스는 납이 잘 퍼지게 하므로 아주 중요합니다.깔끔한 납땜의 마법은 플락스가 만들어줍니다.납과 주석의 비율에 따라서 동일한 납땜 방법으로도 납땜의 광택이 다릅니다.광택만으로는 납땜이 잘 되었다를 구분하는 것은 애매하죠^^제가 사용하는 실납은 RS-60 0.8mm와 1.0mm 두가지가 있습니다.(현재는 0.8mm 사용중이고 대기중인 실납이 1.0mm)RS-60은 주석이 60% 납이 40%입니다.저는 SMD납땜 할 때는 유성플락스를 준비해서 사용합니다.실납속에 포함 되어 있는 플락스를 사용하려면 납을 계속 녹여야하는데 납은 더이상 필요없고 플락스만 필요 하기 때문에추가로 플락스를 준비하는 것이죠유성플락스는 납땜이 잘 되긴 해도 세척이 필요합니다.세척을 하지 않아도 되는 무세척 플락스도 있습니다.^^
댓글 0
조회수 1,956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