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4MCU | ◎ STM32F | STM32 | STM32F103 응용 - SignalTech
페이지 정보
작성자 키트 작성일2017-09-14 14:18 조회4,287회 댓글0건본문
[PDF]STM32F103 응용
서적처럼 만든 자료를 웹검색에서 찾았습니다.^^자료 속에 사진이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사이트를 찾아가봤습니다.전화해서 자료속의 사진이 들어있는 것을 받을 수 있는지 문의해보세요^^![]()
STM32 => ARM-based 32-bit microcontroller
F => General Purpose
103 => Sub Family Number
R,V,Z => R = 64pin, V = 100pin, Z = 144 pin;
C,D,E =>C = 256Kbyte, D = 384 Kbyte, E = 512 Kbyte
H,T => H = BGA, T = LQFP
6,7 => 온도 범위 6 => -40~85 ℃, 7=> -40~105 ℃
STM32F103 RET6 보드 와 차이는 메모리 차이 E = 512Kbyte
참고로 Atmega 128는 128Kbyte
32비트 임베디드 ARM사에서 새로운 코어가 Cortex 다. ARM7, ARM9 많이 사용되었는데, 그 다음 ARM11 대신 그를 초과하는 내부 코어를 ARMv5로 교체하고 많은 부분을 개선한 후 새로운 이름 "Cortex" 새로 사용되고 있다. 통신 포트와 JTAG 포트 둘다 다운로드 할 수있다. ARM 내부에 통신 포트로 프로그램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되어 편하다.
STM32F103드 실물사진(STM32F103 Main 보드 82.5x55.5mm SUB (TFTLCD 포함 )보드92x58 mm )
- CPU ( STM32F103RCT6, STM32F103RET6) 보드
1) 전원부
CPU전원이 3.3V 이므로 LDO 레귤레이터 3.3V인 LM1117 800mA사용하였다. 보드 입력전압은 일반적으로 5V 전원(800mA이상)을 사용한다. 단, USB 전원을 사용시 USB 용량이 최대 500mA 까지 사용할 수 있다.
2) USB 부
USB 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 할 수 도 있고, 마우스, 조이스틱, 저장 매체등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기능을 사용한다. PA11, PA12 두 핀을 사용했다.
(PA12에 1.5K풀업을 하거나 PA12와PB10에 1.5K를 연결하고, PB10을 HIGH를 주어 인식하는데 사용, hw_config.c 에서void USB_Cable_Config (FunctionalState NewState) 연결 함수 )
3) CPU 부
ST사 Cortex-M3의 STM32F103 계열을 사용하였다. PCB 에 핀 수 64pin이 호환 가능한. LQFP 타입이다. 위 PCB 보드에가능한 STM32F103 계열 STM32F103R8T6, STM32F103RCT6, STM32F103RET6이다. 여기서는 8MHz 크리스털을사용하였다.
4) Reset 부
장비를 초기화 할 때 리셋 버튼을 누른다.
5) RS232 부
통신포트단자로 USART1, USART2를 사용할 수 있다. Main 보드 제품 출하 시는 USART1 만 가능 하다. USART1는PA9(TX0), PA10(RX0) 에 연결 되어 있으며, USB 포트 위의 S2 스위치를 DN 으로 놓으면 프로그램 다운로드 할 때 쓰이고, 평상시는 통신포트로 사용된다.
메인보드와 서브보드 같이 사용시는 TFT서브 보드를 이용해 USB 포트로 다운로드 할 경우 0 Ω 저항을 모두 왼쪽에 배치된다.
USART2는 PA2(TX1), PA3(RX1) 에 연결 되어 있으며, 평상시는 일반포트로 설정되어 있으면 통신포트로 사용시는 아래그림 처럼 저항을 0 Ω 을 오른쪽으로 위치하고, 커넥터 J7을 사용하면 된다. 아래 그림은 USART2 일반포트로 설정된 그림
전원 투입 방법
1. 메인 보드만 사용시 전원 투입 방법
1) USB 사용시 J2에 USB에 연결한다. (총사용 전류 500mA 이하 시 권장)
2) 5V 아답터 사용시는 CN2 커넥터에 5V 인가한다. (총사용 전류 500mA 이상 시 권장)
2. 메인보드와 서브보드 사용시 전원 투입 방법
1) 서브 보드의 J14에 미니 USB에 연결한다. (총사용 전류 500mA 이하 시 권장1)
2) 메인보드의 J2에 USB에 연결한다. (총사용 전류 500mA 이하 시 권장2)
3) 5V 아답터 사용시는 CN2 커넥터에 5V 인가한다. (총사용 전류 500mA 이하 시 권장3)
=>CN2에 전원 사용시 J2, J14의 USB 커넥터는 연결하지 않아야 된다. 전원 충돌 때문
(메인보드와 서브보드는 메인보드와 서브보드를 커넥터로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메인보드는 서브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
메인보드의 S2 스위치를 DN 으로 놓으면 프로그램 다운로드 할 때 쓰이고, 평상시는 EX(실행)으로 위치해 놓고 통신 포트로 사용한다.
1. 메인보드만 사용시 다운로드 방법
1) PC 시리얼 포트 사용시
J6 의 TX0, RX0, GND 를 PC 의 시리얼포트의 D-SUB 9핀 커넥터 2번, 3번, 5번 순서대로 연결한다.
2) USB 포트 사용시
USB 와 RS-232신호를
댓글 0
조회수 4,287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