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4MCU | AVR 따라하기 | 2015년 강좌 | 034 - [스위치] 개별 회로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키트 작성일2017-08-23 15:42 조회5,470회 댓글0건본문
내부 풀업저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항이 생략되므로 회로가 간단해지지만같은 보드 내에서라면 왠만하면 별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선이 길어진다거나 하면 노이즈에 취약해지므로 외부 풀업 저항을 사용해야 합니다.내부 풀다운 저항은 없으니 정논리 구조로는 스위치를 연결하지 못합니다.스위치를 누르기 전에는 1이 입력되고, 스위치를 누르면 0이 입력되는 부논리 동작입니다.우측 회로는 채터링을 방지하기 위한 커패시터입니다.0.1uF(100nF) 정도의 용량은 접촉이 좋은 텍트 스위치에서는 적당하지만접촉이 좋지 않은 스위치 경우에는 10uF 이상을 사용하기도 합니다.//--------------------------------------------------------------------외부 풀다운 저항으로 10K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부 풀업저항 사용으로 설정하면 안됩니다.스위치를 누르기 전에는 0이 입력되고, 스위치를 누르면 1이 입력되는 정논리 동작입니다.이 연결 방법은 일반 AVR 모듈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아두이노에서는 많이 사용합니다.//--------------------------------------------------------------------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연결 방법입니다.내부 풀업저항을 사용하든 안하든 상관없습니다.//--------------------------------------------------------------------128에서 PB1,PE0,PE1등의 핀은 ISP에서 사용하고 있고ISP 동작 중에 스위치를 누르거나 하면 포트가 고장날 수 있으므로 1K 댐핑저항을 추가했습니다.내부 풀업저항을 사용하면 안됩니다.//--------------------------------------------------------------------댐핑 저항 때문에 내부 풀업저항을 사용하면 안됩니다.//--------------------------------------------------------------------5V 전원 사용 시 전압 레벨은 아래와 같습니다.LOW 입력 전압 레벨은 0~1VHIGH 입력 전압 레벨은 3~5VLOW 레벨 범위보다 HIGH레벨 범위가 두배 더 넓습니다.//--------------------------------------------------------------------내부 풀업저항을 사용하면 안된다는 글이 이해가 가지 않는 분도 계실 것 같아서 간단히 설명 해드리면외부의 저항과 내부 저항이 저항에 의한 전압 분배 작용을 해서 0V가 아닌 중간(0V보다 높은) 전압으로 상승 하게 됩니다.댐핑 저항의 경우 1K 저항값은 내부 풀업 저항에 비해서 아주 작아서 오동작을 일으킬 일이 적지만10K풀다운 저항 경우에는 상당히 높은 전압까지 상승해서 입력을 체크하지 못 할 수도 있게 됩니다.
댓글 0
조회수 5,470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